내압시험(압력시험), 기밀시험 목적, 기준, 안전성 확보 방안
화공안전기술사 128회 출제 문제입니다. 기밀시험, 내압시험의 목적, 기준, 안전성 확보 방안에 대한 사항인데요. 최근 KOSHA Guide 개정 시 가까운 회차의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. 이 문제 또한 연관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. 시험 중 사고가 발생했던 적도 있어 안전 측면에서는 중요한 사항인 거 같습니다.
종합진단, 안전보건진단, 안전보건개선계획서
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는 종합진단, 안전보건진단, 안전보건개선계획서에 대한 내용입니다. 화공안전기술사 2022년 128회, 2021년 123회, 2017년 111회 등 최근 법과 관련된 출제 빈도가 높아졌습니
bomeee.tistory.com
<화공안전기술사 출제문제>
(2022-128-25) 4교시
압력용기, 배관 등 화학설비에 대해 수행하는 내압시험(압력시험)과 기밀시험에관해서각각 구분하여 그 목적과 기준을 제시하고 안전성 확보 방안을 설명하시오.
관련 사항은 KOSHA Guide (D-54-2022) 화학설비의 압력시험에 관한 기술지침
KOSHA Guide (M-150-2022) 불활성기체 등을 이용한 기밀시험 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참조하시면 됩니다.
1. 기밀시험, 내압시험 목적
1) 내압시험(압력시험)
- 압력용기 등 사용중 압력을 충분히 견디는지 알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는 시험으로, 시험 유체에 따라 액체를 사용하는 수압시험과 기압시험으로 구분
2) 기밀시험
- 누출이 존재하는지 / 누출량 검출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시험으로, 비파괴 분야에서는 누설탐상시험
2. 기준
1) 압력시험은 수압시험 원칙(아래 경우 기압시험 가능)
① 물을 구하기가 현저하게 어려운 경우
② 수압시험 후 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경우
③ 용기 또는 배관에 가득 채운 물의 무게로 인해 용기, 배관 또는 그 지지구조에 과다한 응력이 발생할 경우
④ 용기 또는 배관에 가득 채운 물로 인해 용기 및 배관 라이닝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
⑤ 수압시험을 실시할 경우 재질상 문제가 발생하거나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물로 인해 공정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
2) 시험유체는 무독성
3) Cl 이온 50ppm 미만
4) 해수 사용 금지
5) 글리콜 사용 시 처리방안 마련
6) 기압시험 시 공기, 질소, 헬륨, 아르곤 등 무독성 / 인화성 없는 가스 사용
3. 시험 압력
1) 압력시험
① 수압시험
- 압력용기(강제, 비철금속제)
- 배관
② 기압시험
- 압력용기
- 배관
설계압력의 1.1배
2) 기밀시험
- 시험압력 : 설계압력의 25% 이하 압력
- 시험종류 : 직접가압거품 기밀시험, 진공상자이용 거품 기밀시험, 압력변화시험, 초음파 누출 검출기 시험
4. 시험 방법
1) 수압시험
- 설비내 물을 채움 → 시험압까지 승압
2) 기압시험
- 가압시 50%까지 서서히 승압
- 이상 확인
- 이상 없으면 10% 씩 승압
- 반복
- 압력 도달 시10분 유지 후 이상 유무 점검(육안 / 거품)
- 이상 발생시 즉시 감압 → 시험 재실시
- 시험 종료 / 기록관리
3) 기밀시험
- 용접이음 있는 경우 방사선 투과 시험
- 기체 온도는 취성파괴 염려 없는 온도에서 진행
- 설계 압력의 50%까지 서서히 승압
- 이상 확인
- 이상 없으면 10% 씩 승압
- 문제 발생 징후 확인 시 즉시 감압
- 누출 확인
- 시험 종료 / 환기 / 불활성가스 체류 유무 측정
5. 안전성 확보 방안
1) 시험 중 10m 이내 접근 금지
2) 이상 발생 시 즉시 감압
3) 시험 종료 후 서서히 감압
4) 압력계는 항상 확인 상태로 보기 쉬운 곳 위치
5) 시험 종료 후 환기, 불활성가스 체류 유무 측정
최근 화공안전기술사에 출제된 기밀시험, 내압시험의 목적, 기준, 안전성 확보 방안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.